우울증 치료 7(고급 7 : 충격적인 사건 후 대처)
트라우마는 개인의 신체적 또는 심리적 안녕에 중대한 위협을 가하는 사건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. 트라우마를 경험하면 우울증, 불안,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(PTSD)를 포함한 다양한 정서적 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 우울증은 트라우마에 대한 일반적인 정서적 반응이며 트라우마 사건의 복잡하고 종종 압도적인 특성으로 인해 관리하기가 특히 어려울 수 있습니다. 이 블로그에서는 외상성 사건 이후 우울증을 경험하는 개인에게 제안된 다양한 대처 전략을 검토할 것입니다.
우울증 치료 : 인지 행동 치료
인지 행동 요법(CBT)은 외상 사건 후 우울증 치료를 위해 널리 사용되는 증거 기반 접근 방식입니다. CBT는 우울증 및 트라우마에 대한 기타 정서적 반응에 기여할 수 있는 부정적인 사고 패턴을 식별하고 도전하는 것을 포함합니다. CBT는 또한 개인에게 이완 기술, 문제 해결 기술 및 인지 재구성과 같은 대처 전략을 가르칩니다.
한 연구에서는 CBT를 받은 우울증과 PTSD가 있는 개인이 평소와 같이 치료를 받은 사람들에 비해 우울 증상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(Resick et al., 2002). 또 다른 연구에서는 CBT가 아동기 성적 학대 생존자의 우울증과 불안 증상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(Cohen et al., 2004). 이러한 결과는 CBT가 외상 사건 후 우울증에 대처하는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.
우울증 치료 : 안구 운동 둔감화 및 재처리
EMDR(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)은 외상 후 우울증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진 또 다른 치료법입니다. EMDR은 인지 재구성, 이완 기술, 안구 운동 또는 다른 형태의 양측 자극의 조합을 포함합니다. EMDR의 기본 이론은 충격적인 기억을 둔감하게 만들고 그러한 기억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 반응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입니다.
26개 연구에 대한 메타 분석에서는 EMDR이 트라우마를 경험한 개인의 우울증, 불안 및 PTSD 증상을 줄이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(Bisson et al., 2013). 또 다른 연구에서는 EMDR이 아동기 성적 학대 생존자의 우울 증상을 줄이는 데 대조군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했습니다(Wilson et al., 2006). 이러한 결과는 EMDR이 외상 후 우울증을 경험하는 개인에게 유용한 대처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.
우울증 치료 : 마음 챙김 기반 중재
마음챙김 기반 중재(MBI)는 최근 몇 년 동안 트라우마 후 우울증에 대한 대처 전략으로 인기를 얻었습니다. MBI는 개인이 판단하지 않고 현재 순간에 집중하고 자신의 생각과 감정에 대한 인식을 개발하도록 가르치는 것을 포함합니다. MBI에는 마음챙김 명상, 요가 및 기타 심신 수련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.
29개 연구에 대한 메타 분석에서는 MBI가 트라우마를 경험한 개인의 우울증과 불안 증상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(Bohlmeijer et al., 2010). 또 다른 연구에서는 마음챙김 기반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이 아동 학대 생존자의 우울증 증상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(Follette et al., 2010). 이러한 결과는 MBI가 외상 후 우울증에 대한 유용한 대처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.
우울증 치료 : 약리학적 개입
약리학적 개입은 외상 후 우울증에 대처하는 개인에게도 유용할 수 있습니다.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(SSRI)와 같은 항우울제는 종종 외상 후 우울증에 처방됩니다. 이 약물은 뇌의 세로토닌 양을 증가시켜 기분을 개선하고 우울증 증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.
한 연구에서는 SSRI인 파록세틴이 PTSD 환자의 우울증 증상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(Davidson et al., 2001). 또 다른 연구에서는 또 다른 SSRI인 sertraline이 성폭행 생존자의 우울증과 불안 증상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(Brady et al., 2000). 이러한 결과는 약리학적 개입은 외상 후 우울증을 경험하는 개인에게 유용한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.
우울증 치료 : 자조 전략
전문적인 치료 외에도 트라우마 후 우울증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자조 전략도 있습니다. 이러한 전략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.
지원 시스템 구축: 사회적 지원은 외상 후 우울증에 대처하는 데 중요할 수 있습니다. 친구 및 가족과 연결하거나 지원 그룹에 가입하거나 온라인 커뮤니티를 찾는 것은 편안함과 이해심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.
자기 관리에 참여: 신체적, 정서적 웰빙을 촉진하는 활동에 참여하면 우울증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 자기 관리 활동의 예로는 운동, 건강한 식습관, 충분한 수면, 취미 활동 등이 있습니다.
표현적 글쓰기: 충격적인 사건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감정에 대한 글은 치료 및 카타르시스 경험이 될 수 있습니다. 연구에 따르면 표현적인 글쓰기는 외상 후 우울증 증상을 줄이는 데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(Frattaroli, 2006).
결론 : 우울증 치료의 다양한 접근
트라우마를 경험하면 우울증을 비롯한 다양한 감정적 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 외상 후 우울증에 대처하는 것은 어렵고 복잡한 과정이 될 수 있습니다. 이 검토에서는 인지 행동 요법, 안구 운동 둔감화 및 재처리, 마음챙김 기반 개입, 약리학적 개입 및 자조 전략을 포함하여 외상 후 우울증에 대처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논의했습니다. 개인이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대처 전략을 찾고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